2025년 현재, 전국 89개 시군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며 지방의 인구감소는 더 이상 미래의 문제가 아닌 현실이 되었다. 이에 따라 지자체들은 단순한 인구 유입 정책을 넘어, 청년이 ‘살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전략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 AI 기반 ‘지역 맞춤형 정착 솔루션’ 개발
경북 의성군은 최근 서울대와 협력하여 AI 기반 정착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이 플랫폼은 지역의 산업, 주거, 교육, 문화 데이터를 분석해 청년층에게 최적의 정착 조건을 제시한다.
출처: 서울대학교 지역혁신연구소, 의성군청 보도자료 (2025.9)
🎓 교육 분야: “지방대학과 지자체의 전략적 동맹”
전북 남원시는 전북대학교와 협력하여 ‘지역 연계형 AI 교육과정’을 개설했다. 이 과정은 지역 고등학생과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수료 후 지역 내 공공기관 및 기업과의 인턴십이 연계된다. 특히, 지역 문제 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통해 청년들이 실제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출처: 전북대학교 지역협력본부, 남원시청 (2025.9)
또한 강원도 정선군은 폐교 위기의 중학교를 리모델링하여 ‘디지털 전환 마을학교’로 전환했다. 이곳에서는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AI·로봇 교육뿐 아니라, 지역 주민 대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된다. 이는 세대 간 교육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출처: 정선교육지원청, 강원도청 (2025.8)
🎪 지역 축제와 청년 유입의 연결고리
전남 고흥군은 오는 10월 개최되는 ‘별빛 청년 페스티벌’을 통해 청년 창업자와 지역 주민을 연결하는 장을 마련한다.
📚 학술연구: “지방소멸 대응은 ‘관계 인구’에서 시작된다”
최근 발표된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논문에 따르면, 지방소멸 대응의 핵심은 ‘관계 인구’의 확대에 있다.
💡 “지방에 AI 창업 인큐베이터를!”
AI 창업 인큐베이터를 지방에 설치하여 청년 창업자 유치
지역 문제 해결형 AI 프로젝트 공모전 개최
지자체-대학-기업 연계형 AI 교육 프로그램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