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소멸 위기, 지역이 먼저 움직인다

― 강원도·경상북도·전라남도, 창의적 인구유입 이벤트로 주목받아

2025년 9월 기준, 전국 89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들이 인구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창의적인 이벤트를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중앙정부의 ‘지방인구활력특별법’ 시행(2025년 7월) 이후, 각 지자체는 지역 특성을 살린 인구유입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 강원도 정선군, ‘귀촌 체험 한 달 살기’ 프로그램 인기

정선군은 8월부터 ‘한 달 살기’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도시민 100명을 초청해 지역 생활을 직접 경험하게 했다. 참가자들은 농촌 일손 돕기, 지역 문화 체험, 마을 주민과의 교류 등을 통해 정선의 삶을 깊이 이해했다.

정선군 관계자는 “참가자 중 12명이 실제 귀촌을 고려 중이며, 정착 지원금과 주택 리모델링 지원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경상북도 의성군, ‘청년 귀촌 창업 경진대회’ 개최

의성군은 9월 초 ‘청년 귀촌 창업 경진대회’를 열어, 지역 정착을 희망하는 청년들에게 창업 자금을 지원했다. 총 20개 팀이 참여해 농산물 가공, 지역 관광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선보였으며, 우수팀에게는 최대 5천만 원의 창업 자금과 2년간의 주거 지원이 제공된다.

의성군은 “청년이 머무는 지역이 지속가능하다”는 슬로건 아래, 청년 중심의 인구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 전라남도 고흥군, ‘예술가 유입 프로젝트’로 문화도시 전환

고흥군은 예술가 50명을 초청해 빈집을 리모델링한 ‘창작 레지던시’를 운영 중이다. 이들은 지역 주민과 협업해 벽화, 공연, 공공예술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지역의 문화적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고흥군은 “예술가들이 머무는 공간이 곧 지역의 브랜드가 된다”며, 장기 정착을 위한 창작 공간과 창업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 중앙정부의 지원 확대

행정안전부는 ‘지방인구활력특별법’ 시행 이후, 지자체의 인구유입 프로그램에 대해 최대 70%까지 국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지역활력지수’에 따라 성과 기반 인센티브도 제공 중이다. 또한, 2026년부터는 ‘지방정착 청년통장’ 제도를 도입해, 지방에 거주하는 청년에게 월 최대 30만 원의 저축 매칭을 지원할 예정이다.

✨ 전문가 제언

서울대학교 지역사회학과 김민정 교수는 “지방소멸 대응은 단순한 인구 유입이 아니라, 지역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문화, 교육, 일자리, 주거가 통합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